HOME > 금강철새탐방 > 철새정보 > 철새정보
철새정보
흑꼬리도요 |
 |
과명 |
도요과(Scolopacidae) |
목명 |
황새목(Ciconiiformes) |
국명 |
흑꼬리도요 |
학명 |
Limosa limosa melanuroides (GOULD) |
형태 |
이마 양쪽과 윗부리 기부는 흰색. 눈앞에는 갈색의 얼룩무늬가 있고, 얼굴은 짙고 붉게 녹슨 색으로 어두운 갈색의 작은 얼룩무늬. 턱밑과 멱은 흰색을 띤다. 어깨깃과 등은 짙고 붉게 녹슨색이며 각 깃털에는 검은색의 가로띠 모양의 얼룩무늬가 있고 깃끝과 기부의 일부분은 잿빛 갈색. 가슴, 배, 옆구리는 붉게 녹슨색이며 검은 갈색과 흰색의 가로띠가 있고 배 아래로 갈수록 흰색. 허리는 검은 갈색. 위꼬리덮깃은 흰색으로 끝은 검은색. 아래꼬리덮깃은 흰색으로 검은 갈색의 얼룩무늬. 꼬리는 중앙 1쌍이 검은 색이고 기부는 흰색을 나타내며 끝에 또다시 흰색의 가는 가장자리가 있다. 그 밖의 꼬리깃도 같으나 바깥쪽일수록 기부의 흰색 부분이 많고 가장 바깥쪽은 대부분이 흰색으로 끝에 근소한 검은색 부분이 있을뿐. 부리는 오렌지 황색이고 끝은 검은 갈색. 다리는 검은색. 암컷의 겨울깃은 수컷의 여름깃과 비슷하나 몸 윗면은 잿빛이 많다. |
생태 |
흔한 나그네새. 해안의 간척지, 초습지, 염전, 하구의 삼각주, 하천 부지, 논 등 도처의 물가에 내려 앉는다. 이동할 때에는 2~10마리에서 200~300마리의 큰 무리를 형성하여 물가에 내려 먹이를 찾는다. 흔히 큰 뒷부리도요와 혼성되어 행동을 취하기도 한다. 긴 목을 S자 모양으로 굽히고 걷는다. 부리를 수직으로 갯벌의 모래 진흙이나 물 속에 넣는다. 날을 때에는 날개의 폭 넓은 흐린 흰 띠와 위꼬리덮깃의 흰띠는 뚜렷하게 나타나며 횡렬로 난다. |
분포 |
|
소리 |
피쵸피쵸피쵸, 피쵸피쵸피쵸하고 애절하면서도 날카로운 울음소리를 낸다. |
산란기 |
7월경이며, 한배의 사난 수는 4개. 알은 녹색을 띤 올리브색 또는 올리브갈색 바탕에 어두운 갈색이며 적갈색의 얼룩점과 얼룩무늬 또는 선이 산재. 암수 같이 포란하며 포란 기간은 24일. |
번식기 |
|
식성 |
동물성인 곤충류, 거미류, 달팽이, 연체동물, 올챙이, 지렁이 등을 즐겨먹는다. |